투자금융/산업기업분석
-
나름대로 정리한 대한민국 금융업 & 금융시장투자금융/산업기업분석 2012. 10. 13. 11:01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적을 알고 나를 알아야 승리할 수 있기에 우선적으로 적에 해당하는 시장에 대해서 좀 공부를 해볼까 합니다. 더불어 세상에 존재하는 것을 나름대로의 체계 속에 정리해 놓는 것이 필요할 듯 하여.. 지극히 개인적인 기준에서 금융업을 분류하고 앞으로의 경영계획과 경영전략을 짜기 위한 지표로 활용해볼까 합니다. 0. 나름대로 정리한 금융업 분류 2010년 기준 대한민국 업종별 시가총액 비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업종 비중 정보기술 및 전자전기 23% 금융 18% 자동차 12% 철강 및 비철금속 11% 조선 및 해운 9% 에너지 8% 서비스 6% 음식료 및 유통 6% 건설 5% 제약 및 바이오 3% 우리나라 금융산업은 실물경제 제조업에 비해서 발전이 늦은 편인데도 ..
-
자본시장통합법(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정리투자금융/산업기업분석 2012. 10. 12. 12:01
금융공부.. 자본시장통합법과 금융업으로 시작해볼까요? 자본시장통합법의 도입 배경 많은 분들이 자본시장통합법은 들어보셨을 것 입니다. 자본시장통합법의 풀네임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로서 그 동안 제조업에 비해 발전이 더뎠던 금융산업을 육성하고 글로벌 투자은행을 만들기 위해 2009년 시행되었지요. 기존에 복잡하게 얽혀 있고 칸막이 쳐져 있던 법률을 통합하고 폐지해서 해외의 선진자본시장과 같은 구조를 만들기 위함이었지만 글로벌 경기 침체를 비롯한 여러 가지 이유로 아직 지지부진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지난 2011년 재 개정을 통해서 다시 한번 법률을 다듬었지요.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전문보기 어찌되었건 자본시장통합법의 필요성은 두 가지 정도로 정리해볼 수 있는데 첫..
-
동아타이어 2012년 2분기 실적 리뷰투자금융/산업기업분석 2012. 8. 18. 20:08
※ 본 글은 지극히 개인적인 입장에서 작성한 것이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투자란 모름지기 100%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나의 주력 종목 동아타이어의 2012년 2분기 실적이 발표되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약간 실망스럽게 보여질 수가 있다. 아직 3분기,4분기가 나와봐야 알겠지만 2012년 2분기까지 실적을 종합해보면, 매출액 2000억원 영업이익 130억원 당기순이익 143억원 총포괄손익 136억원 이다. 회계법이 바뀌면서 전에는 없던 총포괄손익 이란 개념이 재무제표에 추가되었다. 자세하진 않지만 총포괄손익이란, 당기순이익 + 기타포괄이익(보험수리적손실, 자산재평가, 투자자산 평가 등등) 이다. 한마디로 당기순이익과 거의 비슷한 ..
-
동일산업 2012년 2분기 실적 리뷰투자금융/산업기업분석 2012. 8. 17. 10:27
※ 본 글은 지극히 개인적인 입장에서 작성한 것이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투자란 100%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보통 반기보고서가 나오기 전에 실적공시를 하는 편인데.. 동일산업은 실적공시 없이 바로 반기보고서가 나오는 것 같다. 어쨌든 2012년 동일산업의 반년 장사 실적은 무난하다고 할 수 있겠다. 매출액 2330억 영업이익 160억 당기순이익 180억 지난 실적을 보면 확실히 성장세는 아니고 정체기 정도인 것 같다. 비즈니스 자체가 철강 산업에서 틈새 시장이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닐까 싶은데.. 어찌됐건 저평가 이유가 있겠지만 심한 저평가인 상태는 변함이 없다. 반기 실적 자체만으로 시가총액과 비교해서 PER 10을 훨씬 밑돈다...
-
초보주식투자 기업분석 유니드 – 2012년 2분기 실적 리뷰투자금융/산업기업분석 2012. 8. 3. 07:26
어쩌다 보니.. 현재 비중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유니드의 2분기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매입 평균 가격이 4만6천원인데 현재 3만5천원을 기록하고 있으므로.. 1주당 1만1천원 정도의 손해를 보고 있어서 결국 투자한 기업 중 손해율 1위라는 기염을 토하고 있는;;; 종목입니다. 1분기 실적이 워낙 안 좋아서 2 분기에는 또 어떠한 크리티컬 일격으로 3만원 대를 뚫고 2만원대로 내려앉아 줄 것인가.. 기대를 좀 했었는데 2분기 또한 안 좋기는 마찬가지이지만 그래도 쬐금 희망 모드로 턴한 느낌이네요. 작년 2분기까지 순이익이 무려 400억을 넘었었는데 올해는 78억원으로 1/4에도 못 미치는 실적이니 회사 망해가는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나, 원재료 가격에 극심한 영향을 받는 기업인지라 아직 망했다고 보기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