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생활/지적재산권
-
아이디어특허 출원방법 알아보기미디어생활/지적재산권 2013. 7. 4. 15:03
아이디어특허, 어떻게 출원하는지 알아볼까요? 살다가 문득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거나.. 아니면 인생의 어떤 목표를 가지고 아이디어를 사업화 하려거나.. 아마 많은 분들이 한번쯤 고민해보셨을 것 같습니다. 분명 좋은 아이디어 하나만 잘 생각해내면 인생역전에 가까운 성공을 거머쥘 수 있습니다. 평범한 회사원이었던 킹 질레트는 면도를 하다가 칼에 얼굴을 베인 후.. 문득 얼굴이 베이지 않는 안전한 안전면도기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합니다.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아 고민 하던 중, 이발사가 자신의 머리를 빗을 이용해서 자르는 것을 보고 아이디어를 얻어 안전대가 있어서 피부가 베이지 않는 안전면도기를 개발하여 세계적인 면도기 회사 질레트를 세우게 되었죠. 그런데 실질적으로 아이디어를 생각한 것만큼 중요한 ..
-
직무발명, 직무발명제도, 직무발명보상제도, 발명특허에 대하여..미디어생활/지적재산권 2013. 5. 9. 06:29
요새 대기업을 포함하여.. 왠만한 회사들 특허출원 안하는 곳이 없습니다. 아무래도 기술력이 핵심인 시대인지라 특허를 통해서 자사의 기술을 보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습니다. 아무리 좋은 기술을 내놔도 금방 타업체에서 따라해버린다면 큰 비용과 노력을 들여서 기술을 개발하는 보람이 없겠지요. 근데 이런 특허출원 관련해서 회사 밖이 아닌, 회사 내부적으로 이슈가 되는 것은 특허권의 소유자가 누구냐 하는 것인데요, 당연히 얼핏 생각해보면 특허권은 회사 소유인 것 같지만 만약 그렇게 되면 아무런 인센티브도 없는데 누가 의욕을 갖고 특허출원을 하려고 할까도 문제가 됩니다. 그냥 잘해도 못해도 월급만 나오니까 건성건성.. 할 가능성이 있지요. 이렇게 실질적으로 회사를 다니고 있는 종업원이 특허를 발명할 경우 특허권을..
-
PCT출원, 국제특허, 해외특허, 미국특허, 일본특허, 유럽특허, 중국특허 무료상담 가능한 국제특허법률사무소미디어생활/지적재산권 2013. 4. 26. 09:02
글로벌 시대인 만큼 내수시장에서 벗어나 해외시장에서 사업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같은 IT 업종의 경우 미국시장을 노리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경우 PCT출원을 통해서 국제특허를 취득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외국은 우리나라와 산업재산권을 보호받기 위한 통일된 출원방식이 없습니다. 특허권은 속지주의 원칙상 각 국가마다 독립적으로 성립하고 그 효력도 독립적이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국내에서 특허를 출원하는 것보다 더욱 복잡하다 할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어떻게 해외특허출원이 이루어지는지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해외특허출원의 경로 해외특허출원은 파리조약에 기초하여 개별국에 출원하는 방법이 있고 특허협력조약(PCT)에 따라 하나의 발명을 다수국에 동시에 출원할 수도 ..
-
특허신청방법, 특허등록방법, 특허출원비용은? 지적재산권 무료 상담미디어생활/지적재산권 2013. 2. 6. 16:42
특허권은 발명이나 아이디어의 권리를 특허권자가 독점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보호를 해주는 대표적인 사업 안전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옛날처럼 국가나 지역간 간 교류가 빈번하지 않고 블록화 되어있던 시절에는 특허권이 그닥 효용성이 없었지만 요즘같이 글로벌화 되어서 경제적으로나 지리적으로 정보통신 및 항공, 철도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전세계적인 비즈니스가 가능해진 시대에는 특허에 의한 권리 보호가 필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워낙 수많은 아이디어들이 있고 현대과학기술이 복잡하고 고도화되었기 때문에 비슷비슷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권리를 주장해야 되기도 하고 혹은 특허권을 획득하기에 여러모로 부족한 아이디어들도 많기에 무작정 특허신청을 한다고해서 등록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특허신청방..
-
특허검색, 빠르고 쉽게 제대로 하는 방법들 알아보자!!미디어생활/지적재산권 2013. 1. 13. 00:39
특허검색, 빠르고 쉽고 제대로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더불어 특허출원 관련하여 변리사 무료상담도 받아보세요~! 예전과 달리.. 요즘은 특허권의 범위가 정말 많이 늘어나기도 늘어났고 그 권리에 대한 영향력과 성숙도도 점점 눈에 띄게 커지고 있는 듯 합니다. 아마도 삼성과 애플의 디자인 및 특허 소송 때문에 더욱 더 부각되지 않았을까 싶은데요, 미국같은 경우 그 쪽 시장이 워낙 발달하기도 했고 이번 삼성 vs 애플 에서 보듯이 수조원대 금액이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인텔렉추얼 벤처스 같은 대형 특허 기업까지 등장할 정도로 규모가 크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그 정도까지는 도달하지 못했던 것이 현실 같습니다. 그러나 요즘 들어 특허사무소들 이야기를 좀 들어보면 지적재산권 출원 의뢰 건수가 부족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