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효율적인 수익 블로그 운영을 위한 방법, 블로그 운영 모델정보통신에너지/Blog Platform 2012. 5. 20. 18:14
블로그를 제대로 운영하기란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매우 간단한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면 쉽게 사용할 수도 있지만 블로그가 가진 진정한 가능성을 최대한 발휘하고자 한다면 해야 할 일이 한 두 가지가 아닙니다. 유명한 파워 블로거나 수익 블로거의 블로그를 가보면 실제로 왠만한 웹사이트 저리가라 할 정도의 다양한 노하우와 블로그 운영 기술들이 축적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블로그 운영을 통해서 얻는 이점 중 최대의 것은 아무래도 수익과 돈이 아닐까 싶습니다. 아무래도 월급과 애들 성적만 빼고 전부 오르는 이 시대에, 직장생활 월급만으로는 성에 안차는 것이 현실입니다. 블로그를 운영한다고 해서 쉽게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진정성 있는 노력을 꾸준히 한다면 적당한 용돈 수준을 넘어 직장생활 월급통장의..
-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에 대해서정보통신에너지/네트워크 2012. 4. 28. 02:27
네트워크에서 뭘 하다가 보면 포트(port)가 자주 등장하는데 리눅스나 NAS등 서버를 운영할 때면 이 포트 할당에 관심을 갖게 됩니다. IP가 컴퓨터를 찾아주는 주소라면 포트는 컴퓨터 내에서 운영체제가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찾아주는 주소입니다. 한 컴퓨터 내에서도 여러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멀티태스킹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이중에 어느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할 것인지 운영체제가 포트를 참조해서 결정합니다. 그리고 FTP나 SSH 등 미리 시스템에서 지정된 포트들은 다른 용도로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잘 알려진 포트는 다음과 같이 세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0번 ~ 1023번: 잘 알려진 포트 (well-known port) 1024번 ~ 49151번: 등록된 포트 (registered port) 491..
-
워드프레스 설치를 위한 synology NAS DS712+ 웹서버 구축정보통신에너지/웹서버 2012. 4. 27. 01:32
워드프레스 설치형으로 블로그를 만들기 위해서는 웹서버가 필요합니다. 호스팅을 얻거나 직접 서버 컴퓨터를 구입해서 웹서버를 구축하기에는 비용이나 시간적인 면에서 부담이 되므로 몇 달전에 구입한 synology NAS DS712+에서 제공하는 웹서버 기능을 이용해서 워드프레스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synology NAS 가 무엇이냐구요?ㅋ NAS는 네트워크 저장장치(Network Attached Storage)로 가정용 클라우드 서버?? 정도로 말할 수 있겠습니다. 용도는 매우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지금도 100% 모든 기능을 활용 하는게 아닌데도 엄청 다양하게 쓰고 있습니다. 이 NAS와 synology NAS DS712+에 대해서는 차후에 좀 더 디테일하게 포스팅하겠습니다. 일단은 ..
-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 폭포수(waterfall) 모델정보통신에너지/시스템 엔지니어링 2012. 4. 26. 23:34
소프트웨어 개발 업무를 하다가 보면 학생 때 하던 과제나 프로젝트와는 그 규모나 복잡도 면에서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입니다. 따라서 학생 때 하던 '짜보고 고치기(Code and Fix)'의 주먹구구 방식을 사용한다면 아마도 한 일주일만 지나도 자신이 만든 코드를 자신이 알아볼 수 없을 뿐더러 버그 수정도 안되고 기능도 엉망이고 제대로 된 OUTPUT이 나오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래서 보통 여러 가지 개발 프로세스를 사용하는데 그 중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근본적인 '폭포수(waterfall) 생애주기 모델' 을 소개해드려 볼까 합니다. (앞서 생애주기라는 것은 소프트웨어의 탄생에서부터 소멸까지의 모든 활동을 말합니다.) 각 단계별로 구분을 하고 각 단계에서 도출되어야 할 산출물을 정리하고 하다 보면 더욱 ..
-
워드프레스 블로그 시작하기정보통신에너지/Wordpress Platform 2012. 4. 26. 12:16
요새 슬슬 우리나라에도 워드프레스 블로그가 알려지기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 여기저기 관련된 웹사이트가 많이 보입니다. 최근에 관련된 책도 출판된 것 같구요.ㅋ 워드프레스는 전세계에서 상위 100만개에 해당하는 웹사이트 중 14.7%가 사용하는 CMS 툴입니다. 기본적으로는 블로그를 위한 툴이지만 점점 발전을 거듭해서 지금은 블로그 외에도 일반 웹사이트에도 많이 사용됩니다. 아래 그림은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는 국가와 지역 밀집도입니다. 출처 : http://wordpress.org/news/2011/08/state-of-the-word/ 주로 미국과 유럽 쪽의 영어권 국가에 많이 몰려있는 것 같네요.ㅋ 실제로 미국에서만 100개의 신규 도메인 당 22개의 도메인이 워드프레스를 사용중이라고 합니다. 워드프레스..